경제·금융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냐 정년63세까지 연장이냐”

`비정규직 문제 해결이냐, 정년 연장이냐` 금융산업노동조합과 은행연합회가 벌이고 있는 산별 임단협의 주요 이슈가 이 두 문제로 압축됐다. 금융노조는 이 두 가지 요구 가운데 하나만 수용해주면 올해 임단협을 순조롭게 끝내겠다는 입장이지만 은행측은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20일 “금융노조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받아들일 것인지, 은행원의 정년을 63세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수용할 것인지 둘 중에 하나를 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노조측은 노사정위원회나 정부 정책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비정규직 문제보다는 정년연장 쪽에 더 무게를 두고 은행측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은행측은 63세로의 정년연장은 오히려 비정규직 직원들에 대한 고용불안을 초래하고 은행 경영부담을 늘린다는 점을 들어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금융노조측은 또 임금의 경우 각 은행들의 사정이 모두 다르고 국민은행 등 대형은행들이 협상에 소극적이어서 타결이 쉽지 않다고 보고 개별협상을 통해 해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노조의 한 관계자는 “임금협상의 경우 올해 경기도 좋지 않고, 은행마다 사정이 너무 달라 공통적인 임금인상안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개별협상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노조와 은행연합회는 이에 따라 지지부진한 산별 교섭의 추진속도를 높이기 위해 21일 7인 대표자회의를 개최한 후 22일 오후 4시부터 은행장들이 참석하는 전체 임단협을 개최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상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개별교섭으로 넘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관련기사



조의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