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7명이 먹고 마시는 송년회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75.7%의 직장에서 올해 역시 먹고 마시는 송년회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남녀 직장인 1,035명을 대상으로 ‘올해 송년회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먹고 마시는 송년회’에 대해 응답자의 69.9%가 ‘바뀌어야 한다’고 답했다. 21.5%는 ‘어쩔 수 없다’고 했으며, 8.6% 만이 ‘좋다’고 해 송년 문화의 변화를 희망하는 직장인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구체적으로 꺼리는 송년회(복수응답)를 묻는 질문에 60.9%가 ‘상사 눈치를 봐야 하는 권위적인 송년회’를 들었으며, 55.6%는 ‘2차ㆍ3차 끝날 줄 모르는 술자리 모임’을 꼽았다. 이어 ‘직원들의 의견은 무시된 일방적인 송년회’라고 답한 이들이 26.3%였으며, ‘별 다른 의미없이 그냥 하는 모임’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1.4%였다.
이에 따라 희망하는 송년회 형식(복수응답)에 대해 58.9%가 ‘공연관람 등 문화 송년회’를 꼽았고, 40.4%는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시상식’을 지목했다. 아울러 ‘봉사활동을 통한 나눔 송년회(30.8%)’와 ‘무언가를 배워보는 배움 송년회(18.2%)’, ‘직원들의 끼를 발산하는 장기자랑 송년회(11.7%)’ 등의 대답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이 같은 직장인들의 바람과 달리 현장에서는 여전히 먹고 마시는 형식의 송년회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사는 어떤 송년회를 계획 중이냐’는 물음에 ‘먹고 마시는 송년회’라도 답한 이들이 75.7%를 차지한 반면, ‘이색 송년회를 계획한다’는 응답은 24.3%에 그쳤기 때문이다.
송년회 모임장소로는 ‘고깃집’이 57.1% 응답률로 가장 많았으며, 뷔페(29.8%)ㆍ술집(27.9%)ㆍ횟집(22.9%)ㆍ호텔(13.2%)ㆍ공연장(11.8%)ㆍ카페(83.3%)ㆍ봉사활동 장소(2.5%)ㆍ기타(0.5%)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이색송년회를 계획 중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의 경우 스키ㆍ등산과 같은 스포츠 송년회와 영화ㆍ뮤지컬 관람의 문화 송년회, 그리고 일일 바자회ㆍ연탄배달 등 봉사 송년회, 장기자랑 및 시상식의 친목 도모 송년회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