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20~30대 목뼈 환자 왜 급증하나 했더니 컴퓨터 많이 쓰는 탓

지난해 비중 50%로 크게 늘어

컴퓨터 사용 등의 증가로 퇴행성 경추(목뼈) 질환을 앓고 있는 20~30대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전문 자생한방병원은 경추질환으로 치료 중인 환자 4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2004년 24%에 불과했던 30대 이하 경추질환자가 2011년에는 무려 50%로 크게 늘어난 반면 2004년 76%에 달했던 40대 이상은 2011년 49%로 대폭 감소했다고 5일 밝혔다.

특히 30대의 경우 7년 새 21%에서 37%로 16% 포인트나 증가해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 병원 척추디스크센터의 이우경 원장은 "경추질환이 30대에 가장 많은 이유는 지금의 30대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학업이나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컴퓨터 1세대'이기 때문"이라며 "이들은 적어도 10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목을 쭉 내밀고 바라보는 등 경추질환을 만드는 좋지 않은 습관에 익숙해져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2011년 30대 경추질환자 중 염좌나 근육통 환자는 1만1,265명으로 목디스크 환자(2,383명)에 비해 5배가량 많은 반면 40대 이후부터는 그 비율이 점차 낮아져 60대에는 목디스크와 염좌 환자의 비율이 거의 같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원장은 "목 통증을 방치하면 퇴행이 급격히 시작되는 40대 이후에 디스크의 노화를 부추겨 목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며 "가벼운 통증이 나타났을 때 적절히 치료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해 목디스크를 예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