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韓 부도위험 사상 처음 日보다 낮아져

한국의 부도위험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중국에 이어 일본과도 부도위험 지표가 일본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역전됐다. 대지진이라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사상 처음으로 한국의 부도위험이 일본보다 낮아진 셈이다.

16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국 국채(5년물)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14일 현재 0.687%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14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높이자 CDS 프리미엄은 13일 0.737%에서 0.60%대로 떨어졌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이 올해 1월9일 1.71%로 고점을 찍은 것과 비교하면 절반도 안되는 수준이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최근 중국보다 낮아진 데 이어 작년 3월 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처음으로 일본보다도 더 떨어졌다. 한국의 부도지표는 13일 0.737%에서 14일 0.687%로 떨어지는 동안 일본의 부도지표는 0.669%에서 0.696%로 올랐다.

관련기사



작년 3월11일 일본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직후 일본의 CDS 프리미엄이 사상 처음으로 한국보다 높아졌지만 이후 안정을 되찾으며 내려가 격차를 벌렸다. 그동안 일본이 한국보다 0.2%p 정도 낮은 상태를 유지했다.

앞서 한국의 부도위험은 지난 5일 중국보다 낮아졌다. 중국의 CDS 프리미엄은 4일 0.994% 한국(1.005%)보다 낮았지만 5일에는 중국 1.001%, 한국 0.987%로 역전됐다. 중국의 CDS 프리미엄은 14일에는 0.735%까지 떨어진 상태다.

CDS 프리미엄은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인 CDS에 붙는 일종의 가산금리로 이 수치가 내린다는 것은 발행주체의 부도 위험이 그만큼 낮아진다는 뜻이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