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원자재 확보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면서 미국 국방부(펜타곤)가 적극적인 움직임에 나서기 시작했다.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국방부가 유사시에 무기제조 등에 필요한 원자재를 즉각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략물자 비축 시스템을 대폭 정비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중국 등 각국이 전략 원자재 수급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면서 미 국방부 역시 비축물량 확보를 위한 경쟁 대열에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신문은 해석했다.
WSJ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최근 전략원자재 구입과 저장 등에 있어 국방부의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전략원자재 보안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의회에 기존 비축 시스템의 대대적인 변경을 요청할 계획이다.
현 규정 하에서 미 국방부는 의회의 승인 없이 새 원자재를 비축품 명단에 올릴 수 없는데 이 같은 의회승인조항을 삭제, 의사결정을 신속히 할 계획이다. 또 각종 무기나 제트엔진, 여타 장비 등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원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업이나 국가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할 권한도 요구할 방침이다. 원자재 구입 방법도 기존의 연간 단위 방식 대신 대량 단위로 바꾸어 구매가를 낮출 계획이다.
현재 미 국방부는 유사시에 대비해 금속ㆍ광물ㆍ농산품ㆍ철광석 등 각종 천연 자원을 2008년 말 기준으로 16억 달러 가량 비축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비축물량 리스트에 새 희토류 원소 몇 가지를 추가하기도 했다.
이 같은 원자재 확보는 경기 침체 이후 세계 각국이 가장 치열하게 선점 경쟁을 펼치고 있는 분야다.
지난해 호주 정부는 각종 합금이나 전자제품, 컴퓨터 모니터 등에 쓰이는 희토류 원소 개발업체의 소유권이 중국기업이 넘어가려는 것을 막은 바 있다. 중국은 전세계 희토류 원소 생산의 90%를 차지하는 자원강국으로 이 희토류 원소들은 미군에서도 레이저나 고출력 자력 등에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