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것은 사건의 실체가 제대로 규명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정치 논리의 가세와 추측성 언론 보도까지 춤을 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사건은 횡(橫)으로 총리와 3명의 전현직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망라하고 있으며 종(縱)으로는 현재 야당의 뿌리인 노무현 정부에까지 이어질 정도로 광범위하고 깊숙이 펼쳐져 있다. 정치권 모두가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여야 모두 불리한 것은 감추고 유리한 것은 선거운동에 이용하면서 의혹을 부풀리기에 바쁘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치권이 개입하면서 사건의 실체규명이 지루한 진실공방 속에서 오리무중으로 흐를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최근 공개된 성 전 회장의 진술과 기록만 해도 그렇다. 성 전 회장은 인터뷰에서 경남기업을 살리기 위했다고는 하나 '반기문 대망론'에다 북한 김정은까지 언급하고 있어 증언의 진실성을 의심 받도록 만들고 있다. 비망록도 모든 것을 사실로 보기에는 모순되는 점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럴수록 사건의 실체규명이 중요해진다. 우리는 정치권이 스스로 연루된 사건에 대해 처음에는 상대 당 공격 재료로 이용하다가 큰 파고를 넘긴 다음에는 정치적 타협이라는 식으로 어물쩍 넘어간 경우를 너무도 자주 봐왔다. 정치권은 여야 할 것 없이 이번 사건을 주목하는 국민을 의식해야 한다. 사건의 실체규명을 방해하거나 왜곡하는 등의 어떤 불순한 동기와 행위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