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말랑말랑 IT] 피처폰의 저력

특정 소비층 있기에… "저 아직 안 죽었어요"

노령·보안 염려 고객에 인기 꾸준

국민 10명 중 2명 일반폰 애용자

제조사들 年1회 정도 새모델 내놔


스마트폰 출시가 홍수를 이루는 가운데 기본 기능에 충실한 피처폰(일반폰)이 꾸준한 인기를 모으며 저력을 과시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우리 국민 10명 중 2명은 아직도 피처폰 애용자일 정도로 피처폰의 생존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피처폰 사용자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1,300만 명에 달한다. 휴대폰(스마트폰+피처폰) 가입자 5,600만 명 중에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사물지능통신(M2M) 가입자 수를 제외한 수치다.


최첨단 스마트폰 속에서 피처폰은 알뜰폰 고객과 노령층을 위한 일명 '효도폰', 그리고 청와대처럼 보안 때문에 3G·2G를 사용해야 하는 특정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상당한 고정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피처폰 모델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 1년에 1회 정도는 신 모델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모델은 삼성전자의 미니멀 폴더·와이즈2(2G·3G)·마스터 3G·마스터 듀얼(2G·사진)과 LG전자의 와인 샤베트, 와인폰4 등 총 8종이 있다. 단말기 가격은 평균 20~40만대로 이통사들의 약정 할인을 받으면 10만 원대의 가격에도 개통이 가능하다.

피처폰이 꾸준히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카카오톡을 넣은 피처폰도 등장했다.

한발 더 나아가 이통사들은 피처폰 인기에 발맞춰 데이터 요율을 낮춰 서비스 가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LTE 스마트폰 요금제가 5만~10만 원 수준이라며 피처폰은 1만~2만 원 요금제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기본료 1,000원의 알뜰폰 상품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