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신혼부부 85% "반드시 내집마련"

일반가구보다 구매 의사 높아

소득 적을수록 주거 안정 열망


신혼부부들의 주택 구매 의사가 일반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크게 오르고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는 등 갈수록 주거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일찌감치 주택을 구매해 주거 안정을 꾀하려는 젊은층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6일 국토교통부가 결혼 5년 차 이하 신혼부부 2,67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 신혼부부 주거실태 패널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84.7%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일반가구(79.1%)보다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눈길을 끄는 것은 실제 주택 구매 여력이 있는 고소득층보다 중·저소득층의 주택 보유의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지난해 3·4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분위표 기준 1-4분위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의 주택 보유의식이 85.3%로 가장 높았으며 중소득층(5-8분위)은 84.9%, 고소득층(9-10분위)은 79.0%로 조사됐다. 치솟는 전세가격과 월세 전환에 따른 부담을 체감하고 있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그래도 집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 집 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신혼부부들은 많지만 실제 자가 비율은 높지 않았다. 전체 응답자 중 29.4%만이 자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62.9%는 전세나 월세 등 임차 형태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48.6%가 주택자금 대출상품을 이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은 "임차 비중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대출 이용 비중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안정적인 주거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신혼부부들이 많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