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학업체 안전점검 연 4회서 1회로

"불필요한 중복 검사 없애자"

관련부처·지자체 원스톱 시행

정부가 화학업체를 상대로 1년에 최대 4번까지 실시하던 지도ㆍ점검을 1회로 줄이기로 했다.

정부는 25일부터 전국 9개 산업단지 511개 화학물질 취급업체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지도ㆍ점검을 실시해 화학사고 예방을 효율화한다고 밝혔다.


효율화의 열쇠는 정부 부처 간 협업에 있다. 지금까지는 환경부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방재청 등이 개별적으로 화학업체를 지도ㆍ점검하는 바람에 사업장에 따라 1년에 최대 4번까지 점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중복 점검에 따른 비효율을 없애기 위해 앞으로는 각 부처와 지자체가 원스톱으로 점검을 실시하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업체당 평균 1.97회, 최대 3회까지 점검 횟수가 줄어들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주요 산업단지 합동재해방지센터를 중심으로 각 부처의 지방관서와 지자체와 함께 여수ㆍ시흥ㆍ서산ㆍ울산ㆍ구미ㆍ익산 등 9개 산업단지 업체들을 집중적으로 지도ㆍ점검한다. 상반기에는 211개, 하반기에는 300여개 업체가 합동점검을 받게 될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합동 점검 결과와 기업 반응 등을 토대로 추진방향을 보완해 내년부터는 9개 산업단지 외 지역에까지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김충모 고용부 화학사고예방과장은 "그동안은 각 부처별로 점검 후 지시 사항이 엇갈리는 부분이 있거나 비슷한 내용의 점검을 여러 번 받는 등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는데 합동 점검을 하면 부처 간에 감독 사항을 사전에 충분히 조율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합동 점검이 감독 축소와 안전 소홀을 불러오리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고용부ㆍ소방방재청 등에서 1년에 2회 이상 실시해야 하는 점검은 합동점검과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합동점검으로 감독이 소홀해질 일은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