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기초장애연금과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를 도입을 추진한다. 또 다양한 일자리 창출로 장애인의 역량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장애인 단체장들과 만나 이 같은 정책을 설명하며 장애인을 위한 휴먼뉴딜을 추진해나가겠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전 장관은 “장애인의 역량 개발과 공정한 경제ㆍ사회활동 참여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장애아동에 대한 양육부담을 줄이고 장애인 소득보장 지원, 사회참여 기회 보장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소득을 보장하는 ‘중증장애인 기초장애연금’과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또 복지부는 올해 추경예산을 확보해 장애인 대상 일자리를 3,500개에서 4,172개로 확대하고 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장애인 도우미도 2,000명에서 2,500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노인, 장애인에게 안마바우처를 제공해 시각장애인 안마사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사업도 지원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장애아동을 기르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장애아 전담 보육시설을 확충하고 장애아에 대한 무상보육료도 지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