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재승인 불허' 방침까지 나온 홈쇼핑 납품 비리

TV홈쇼핑 업체의 '갑(甲)질'이 끊이지 않고 있다. 12일 열린 정홍원 국무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중소기업인들이 쏟아낸 하소연을 보면 홈쇼핑의 횡포가 여전함을 알 수 있다. 방송 송출수수료 명목으로 납품회사가 판매한 물품 금액의 43%를 떼어가는 것도 모자라 납품수량을 일방적으로 줄이는 게 다반사다. 자동응답전화(ARS) 할인 등 판촉비용의 최대 90%까지 납품사가 부담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몇몇 홈쇼핑사는 납품기업에 물량을 계약서 없이 구두 발주한 후 일방적으로 방송을 취소하고도 재고 책임은 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홈쇼핑사의 횡포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일부는 부도 직전에 처해 있다는 소식이다. 4월 롯데홈쇼핑 비리가 적발된 후 업계 차원의 자정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지만 개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개선은커녕 추가 비리까지 속속 드러나고 있다. 8월 NS홈쇼핑은 180억원 규모의 카드깡 대출사건에 휘말려 전현직 임직원 2명이 구속됐다. 홈쇼핑이 이처럼 복마전이니 "불공정거래의 종합선물세트"라는 비난이 나올 수밖에 없다. 오죽했으면 정 총리가 관련 부처에 홈쇼핑 비리를 근절하라고 강력히 지시했겠는가.

홈쇼핑 업체의 불공정행위는 납품업체의 경영의지를 꺾고 그 피해는 결국 소비자들에게 돌아간다. 홈쇼핑의 횡포가 근절돼야 하는 이유다. 정부 관계자가 마침 납품비리를 일삼는 홈쇼핑업체에 대한 '재승인 불허' 입장을 밝혔다니 반가운 일이다. 이 말이 과거처럼 엄포로만 그쳐서는 안 된다. 내년 5~6월로 예정된 3개 홈쇼핑 업체의 재승인 심사가 정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