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열린 당정청 회의에는 당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김정훈 정책위 의장, 황진하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황교안 국무총리,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이, 청와대에서는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 현정택 정책조정수석, 현기환 정무수석, 안종범 경제수석이 나왔다.
김 대표를 제외한 당 지도부가 교체되고 정부에서는 황 총리, 청와대는 현 정무수석이 새로 취임하면서 상견례 형식으로 이뤄졌다. 오랜만에 재개된 모임은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지만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면서는 깊이 있는 대화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은 7월 임시국회의 최우선 현안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가뭄 피해 대책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문제, 민생ㆍ경제 법안 처리 문제를 기본의제로 다뤘다. 박근혜 정부의 3년차 하반기 핵심 국정과제로 꼽히는 노동개혁을 비롯한 4대 부문(공공·노동·금융·교육) 개혁 추진 방향도 집중 논의됐다.
당정청은 상반기에 공무원연금 개혁으로 공공개혁에서 성과를 거둔 여세를 몰아 하반기에는 우선 노동개혁에 동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최근 "내년 총선과 내후년 대선을 앞두고 있지만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서라면 표를 잃을 각오로 노동개혁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도 전날 국무회의에서 "4대 개혁을 하지 않으면 미래세대에 빚을 남긴다"고 강조함에 따라 새누리당은 노동개혁을 중심으로 전방위 지원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당정청 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오늘 고위 당정청 협의에서 노동개혁을 포함해 여러 가지 국정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정청은 노사정협의회를 재가동하고 노동계를 대화채널로 다시 복귀시키는 방안을 놓고도 의견조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참석자들은 아울러 메르스 사태가 종식 시 방역체계 개편을 비롯한 후속조치와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과 범위 등에 대한 의견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15일 이후 68일 만에 재개된 회동은 2시간 넘게 만찬을 겸해 이뤄졌고 당정청은 앞으로 수시로 현안을 논의하고 의견을 교환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