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경부 13년만에 통상조직 신설

외교부 반발 무릅쓰고 강행

지식경제부가 외교통상부의 강한 반발을 무릅쓰고 결국 통상 조직을 신설했다. 지난 1998년 외교통상부에 넘겨준 통상 기능을 13년 만에 다시 가져온 셈이다. 수출을 할 때 다양한 부분을 패키지로 지원하기 위해 조직을 신설한다는 것을 명분으로 내세웠는데 최중경 지경부 장관에 대한 외교부의 반발 강도는 더욱 거세진 모습이다. 지경부는 29일 산업자원협력실 신설 등을 골자로 한 '지식경제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산업자원협력실은 산업ㆍ기술ㆍ투자ㆍ자원 등 다양한 협력의제를 패키지로 묶어서 국가별 또는 지역별로 포괄적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기존의 통상협력정책관(2급)을 1급이 관할하는 조직으로 확대, 개편했다. 산업자원협력실은 주력시장협력관과 전략시장협력관 등 국장관할의 2관, 7개과로 구성된다. 이번 조직개편은 최 장관이 취임 이후 가장 역점을 둔 분야. 최 장관은 지난 1월 취임하자마자 "국가 간 산업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산업자원협력실 신설 의지를 내비쳤다. 이후 인도네시아ㆍ이라크ㆍ아랍에미리트(UAE) 등과 함께 다양한 분야의 산업협력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통상업무를 주관해온 외교부와 마찰을 빚기도 해 향후 대외통상업무를 놓고 외교부와 지경부가 얼마나 불협화음을 없애고 일을 추진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경부는 이날 자원개발원전정책관을 원전산업정책관으로 변경하고 비정규조직인 방사성폐기물팀을 정식과로 승격하는 등 4과를 거느린 원자력전담국도 신설했다. 또 기존에 전기위원회에서 담당하던 전력산업업무를 에너지산업정책관으로 일원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