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우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국내 금융 리스크 관리 못지않게 외화 유동성 관리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기자간담회ㆍ정무위 업무보고에서 환율 등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외화 유동성만큼은 금융위가 주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 위원장은 외화 유동성 정책 우선 순위로 “외화를 충분히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외화 확보를 위해) 노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 금융위는 대우조선해양 등 구조조정기업 지분매각과 우리금융 등 금융 공기업 민영화 시 외자 유치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전 위원장은 이와 관련, “외자가 많은 지분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하지만 최대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외자가 지분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구체적 범위 등은 채권은행이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대우조선해양 지분매각 과정에서 외국인투자가의 투자지분은 10% 이내로 제한되지만 외국인들이 인수주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경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현재 우리금융지주와 기업은행 소수 지분 등 금융 공기업 매각 과정에서도 외국인투자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금융위의 한 관계자는 “금융 공기업 지분매각 시 건전한 해외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터주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외화자금 확보 여건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차입기간도 단기화되고 있다.
아울러 전 위원장은 해외직접투자(FDI) 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금융위 주관으로 국가 IR를 준비 중이다. 늦어도 오는 10월 안으로 국가 IR가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낙후된 국내 보험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외자 확보를 위해 외국계 보험사의 국내시장 진입 문을 넓혀주기로 했다. 한마디로 해외 보험사의 국내 보험사 인수합병(M&A)을 촉진시킨다는 전략이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여러 인센티브 등을 통해 외국 보험사들이 시장에 진출할 때 우선 국내 중소형 보험사를 인수하는 방식을 적극 유도하는 방안을 논의ㆍ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즉 외화 유동성 관리를 위해 외화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대신 금융기관의 외자 유출은 최소화한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