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자일리톨껌에 '충치예방' 표시 함부로 못한다

앞으로 자일리톨껌에 '충치예방' 효능을 함부로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자일리톨을 함유한 껌의 '충치예방' 효능 표시 요건을 강화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고 23일 밝혔다. 가이드라인 초안에 따르면 자일리톨껌에 충치예방 효능을 표시하려면 제품에 함유된 감미료 중 자일리톨의 함량이 50% 이상이어야 하며 함께 들어 있는 다른 당류 또는 전분류는 입 속에서 발효되지 않고 산(酸)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당분이 발효돼 생성된 산은 충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 구연산 등의 치아를 부식시킬 가능성이 있는 성분도 들어 있지 않아야 한다. 식약청은 이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자일리톨껌은 충치예방 효능을 표시할 수 없게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일리톨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함량을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자일리톨이 들어 있더라도 함량이 낮은 제품은 충치예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자일리톨이 충분히 들어 있더라도 다른 성분에 의한 충치 유발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만들어졌다. 식약청은 가이드라인 초안을 식품공업협회로 보내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확정된 내용은 일단 강제 적용이 아닌 업계 자율로 운영된다. 식약청의 한 관계자는 "자일리톨껌의 '충치예방' 표시가 소비자를 기만할 가능성이 높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업계도 표시 요건 강화에 찬성하고 있어 초안대로 가이드라인이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