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7일 청와대에서 허남식 부산시장과 비공개 면담을 갖고 신공항 건설 백지화 결정의 배경 등을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6일 "허남식 부산 시장이 내일 청와대에 들어가 이 대통령과 신공항 문제 등을 주제로 면담할 것"이라며 "면담 형식은 비공개 오찬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면담에서 국익과 미래 세대를 위해 경제성이 부족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 대해 이해를 구하고 부산ㆍ경남 지역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4일 이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김범일 대구시장, 김관용 경북지사와 비공개로 오찬을 한 바 있다. 지난달 30일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발표 이후 대구ㆍ경북 지역민심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 대통령이 잇따라 이 지역 지자체장과 만나면서 백지화 후속대책을 논의했는지 관심을 모은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허 시장은 이 대통령에게 정부의 취득세율 50% 인하 방침을 재고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4일 오찬에서 보고서를 전달했는데 과학벨트 대구ㆍ경북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내용이 들어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는 5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과학벨트 특별법 발효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갖고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만큼 영남권 3개 시ㆍ도(대구ㆍ경북ㆍ울산)가 힘을 합쳐 반드시 유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다만 김 지사와 함께 오찬 했던 김범일 대구시장은 과학벨트는 당시 오찬 면담에서 거론되지 않았다고 부인하면서 "그날은 (신공항 백지화와 관련해) 이해를 구하고 위로하는 차원이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김 지사와 김 시장에게 “앞으로 더욱 촘촘하게 지방정책을 챙기겠다”며 대구ㆍ경북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진석 정무수석은 “당시 오찬 면담에서 과학비즈니스벨트와 관련된 이야기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며 “이 대통령은 물론, 두 광역단체장도 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앞으로 영남권 의원들과도 면담 일정을 잡아 정부 결정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