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비자금 `150억원+α` 사건을 수사중인 대검 중수부(안대희ㆍ安大熙 검사장)는 현대가 150억원 이외에 별도의 비자금을 조성해 집행한 사실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사용처를 조사중이다.
검찰이 `+α` 비자금을 공식 확인함에 따라 이 자금의 정치권 유입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5일 “이른바 `+α`로 추정되는 비자금 일부를 포착한 것은 사실”이라며 “이 자금이 정치권에 유입됐다는 정황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자살한 정몽헌(鄭夢憲)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에 대해서는 150억원 부분만 조사했으며 `+α`는 묻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현대측이 2000년 4ㆍ13 총선을 전후해 1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을 확인하고 최근 비자금 조성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정 회장의 장례절차가 마무리되는 이번 주말 또는 내주 초 계좌추적 결과 등 그 동안의 수사경과를 중간 발표할 계획이며 조만간 박 전 실장, 이익치(李益治) 전 현대증권 회장 등 사건 핵심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검찰은 “150억원 어치의 양도성예금증서(CD)를 돈 세탁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영완(金榮浣ㆍ미국 체류)씨가 자진귀국할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고 밝혔다.
검찰은 6일까지 자진귀국 여부를 검찰에 통보할 예정이던 김씨가 정 회장의 자살을 계기로 귀국을 거부할 경우에 대비, 강제송환 방안을 강구중이며 여의치 않을 경우 서면 진술서를 제출 받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한편 검찰은 정 회장과 마지막 술자리를 가진 박기수(朴騏秀ㆍ54) 전 현대상선 미주본부장을 소환, 김영완씨와의 접촉 여부 등을 조사했으나 현대비자금 사건과 관련, 별다른 혐의점이 없어 귀가시켰다.
<노원명기자, 김지성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