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한국도 테러보험 도입 논의 필요"

이기형 보험연구원 선임위원

우리나라 테러 위험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에 속하기는 하지만 세계적으로 테러 위험이 커지고 있는 만큼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테러 보험 제도 도입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기형 보험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22일 '주요국 테러보험제도 운영 현황과 국내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테러 피해에 대한 손해복구 대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에 대한 테러 위험은 크지 않지만 가능성이 없다고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한국의 경우 고층건물이 밀집해 있고 인구 밀도가 높아 테러 발생시 재물 손해와 인적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 9·11 테러 이후 세계 각국의 보험사들이 테러 보험을 매우 제한적으로 인수하면서 테러 리스크가 큰 국가들은 현재 정부 주도로 테러 보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벨기에·독일·영국·러시아·대만·홍콩 등은 임의보험 형태로, 호주·프랑스·스페인은 의무 가입 형태로 테러 보험을 운영 중이다. 한국의 경우 2002년 한일월드컵을 앞두고 경기장 등 대규모 수용 시설물에 대해 공동인수풀 형태의 테러보험 제도를 한시적으로 운영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정부 주도의 테러보험 제도는 없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보험사들은 대부분 '테러에 의한 피해'를 보장하지 않아 테러가 발생하면 경제주체들은 큰 손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며 "테러 리스크에 대한 보험제도 도입을 검토할 경우 미국·프랑스 등 주요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민관파트너십 형태의 테러보험제도를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