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서적의 할인율을 15% 이내로 제한한 새로운 도서정가제가 시행 된 후 책값이 평균 6.2%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서정가제가 시행된 지난해 11월 21일부터 올해 10월 31일까지 출판시장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한 결과 신간 단행본의 평균 정가는 1만7,91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출간된 유사도서의 평균 정가 1만9,106원보다 6.2% 내렸다고 12일 밝혔다.
신간의 평균 정가는 도서정가제 시행 100일 당시의 평균 정가(1만8,648원)보다는 2.1% 하락했다. 유아·아동 분야 도서의 평균 정가는 18.9%, 인문사회는 7.9%, 문학은 6.7% 내린 반면 만화신간 가격은 오히려 19.4% 인상됐다.
특히 베스트셀러 순위 20위권 안에 포함된 도서 중 신간이 90%(6개 대형서점 베스트셀러 30종 중 27종)에 달해 할인율 제한으로 독자의 도서구매 경향이 가격보다는 콘텐츠의 질 위주로 변화 중인 것으로 문체부는 판단했다.
서점을 대상으로 한 표본 설문조사 결과, 지역 단위의 중소서점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온라인 및 대형서점의 매출은 줄고 영업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학습참고서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소형서점의 경우에는 매출 등에 거의 변동이 없었다. 도서정가제에 대한 출판유통계의 평가는 현 도서정가제 유지 또는 강화(할인율 축소 및 무할인 도입) 의견이 67.6%로 나와 도서정가제 자체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판유통업계 종사자들은 설문조사에서 개정 도서정가제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할인율 축소와 실용서 및 도서관 구입 도서의 정가제 적용 등을 꼽았다. 반면 공급률 조정과 할인율 축소, 무료배송 등을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지적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출판유통업계와의 민관 공조체제를 긴밀히 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우수한 도서콘텐츠 제공 및 출판수요 창출을 위한 정책개발 등 출판산업 발전에 더욱 심혈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서정가제가 시행된 지난해 11월 21일부터 올해 10월 31일까지 출판시장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한 결과 신간 단행본의 평균 정가는 1만7,91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출간된 유사도서의 평균 정가 1만9,106원보다 6.2% 내렸다고 12일 밝혔다.
신간의 평균 정가는 도서정가제 시행 100일 당시의 평균 정가(1만8,648원)보다는 2.1% 하락했다. 유아·아동 분야 도서의 평균 정가는 18.9%, 인문사회는 7.9%, 문학은 6.7% 내린 반면 만화신간 가격은 오히려 19.4% 인상됐다.
특히 베스트셀러 순위 20위권 안에 포함된 도서 중 신간이 90%(6개 대형서점 베스트셀러 30종 중 27종)에 달해 할인율 제한으로 독자의 도서구매 경향이 가격보다는 콘텐츠의 질 위주로 변화 중인 것으로 문체부는 판단했다.
서점을 대상으로 한 표본 설문조사 결과, 지역 단위의 중소서점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온라인 및 대형서점의 매출은 줄고 영업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학습참고서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소형서점의 경우에는 매출 등에 거의 변동이 없었다. 도서정가제에 대한 출판유통계의 평가는 현 도서정가제 유지 또는 강화(할인율 축소 및 무할인 도입) 의견이 67.6%로 나와 도서정가제 자체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판유통업계 종사자들은 설문조사에서 개정 도서정가제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할인율 축소와 실용서 및 도서관 구입 도서의 정가제 적용 등을 꼽았다. 반면 공급률 조정과 할인율 축소, 무료배송 등을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지적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출판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출판유통업계와의 민관 공조체제를 긴밀히 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우수한 도서콘텐츠 제공 및 출판수요 창출을 위한 정책개발 등 출판산업 발전에 더욱 심혈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