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오피스·상가·토지

[부동산시장 뒤집어보기] MBK 오피스 임대차시장서 외면받는 이유

가는 곳마다 피인수사 노조 시위로 시끌



국내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가 오피스빌딩 시장에서 '공공의 적(?)'으로 전락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회사가 입주한 서울 광화문 '디타워'가 40%가 넘는 공실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MBK가 적잖은 역할을 하고 있어서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기준 디타워의 오피스 공실률은 약 46% 수준으로 절반 정도가 비어 있다. 반면 인근 그랑서울의 오피스 공실률은 5% 정도에 불과하다. 디타워와 그랑서울의 위치가 가깝고 1년의 시차를 두고 비슷한 시기에 완공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빌딩의 공실률 차이는 크다.

이유는 디타워가 연일 시위로 시끄럽다는 점이다. 현재 MBK가 인수한 홈플러스 노동조합이 '디타워' 앞에서 고용보장을 직접 약속하라며 연일 집회를 열고 있다. 이 때문에 빌딩주인 대림산업은 물론 다른 입주사들도 불편함을 겪고 있다.

사실 이 같은 풍경은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다. 사모펀드의 특성상 기업 인수합병(M&A) 과정에서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MBK의 경우에는 이미 전례도 있다. 디타워 입주 전 서울파이낸스센터(SFC)에 있을 당시에도 MBK에 인수된 케이블TV 씨앤엠 직원들이 SFC 앞에서 진을 치고 시위를 벌였다.

이 때문에 빌딩주인 싱가포르투자청(GIC)이 골머리를 앓았으며 SFC에 입주해 있던 싱가포르대사관도 이에 대해 강하게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MBK는 지난 2월 SFC 임대 기간이 끝나자마자 쫓겨나듯 디타워로 둥지를 옮겨야 했다.


관련기사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