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과학원과 칭짱고원연구소 등은 최근 공동으로 펴낸 ‘초모랑마(에베레스트) 기후환경변화 평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영내 초모랑마의 빙하 면적이 1970년대부터 40여년간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네팔 영내인 에베레스트 남측의 빙하면적은 1980년대부터 2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히말라야를 포함하는 티베트고원은 중위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이며 이 중에서도 에베레스트가 가장 현저하다.
중국이 관리하는 초모랑마자연보호지역에는 현재 1천476개의 빙하가 존재하고 있으며 면적은 2천30㎢에 달한다. 캉 주임은 “에베레스트의 동 롱북(Rongbuk) 빙하 탐사 결과 90년대와 비교해 탑상 빙괴가 남아있는 하한선이 위로 올라갔고 빙하 주변의 빙괴도 많은 양이 붕괴돼 사라졌다”고 전했다.
실제로 중국에 면한 에베레스트 빙하는 해를 거듭할수록 사라지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1993∼2005년 사이에는 해마다 평균 8m 정도씩 빙하가 줄었으나 2005∼2014년 사이에는 연평균 16.5m로 가파르게 늘었다.
뉴욕타임스는 이와 관련 중국 빙하의 유실은 인근 아시아 국가들의 식수원 공급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빙하 면적 감소로 영구동토층이 크게 줄면 식수원 공급이 차질이 생겨 동식물은 물론 인류의 삶에도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