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정규직 2년내 3% 이하로"

서울시 노동혁신대책 내놔

서울시가 구의역 사고를 통해 수면 위로 떠오른 서울시와 산하기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2018년까지 본청과 투자출연기관 비정규직 비율을 대폭 낮추고 기존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의 임금차별 축소에 나선다.

서울시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노동혁신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우선 본청과 투자출연기관 비정규직 800명을 줄여 비정규직 비율을 현재 5%에서 2018년 3% 이하로, 민간 위탁 분야는 620명을 줄여 비율을 14%에서 10% 이하로 내린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상시지속 업무만 정규직화하려던 계획을 시민의 생명과 안전 관련 업무로까지 확대하고 민간 위탁은 고용승계를 최소 80% 이상 의무화한다. 또 앞으로 비정규직을 신규 채용할 때는 ‘단기성·예외성·최소성’의 원칙을 적용해 불가피한 경우로만 제한한다. 같은 노동에 대해서는 같은 임금과 처우를 제공한다는 원칙에 따라 기존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이 된 근로자 간 차별도 없앤다.

관련기사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가 임금 차별을 받는 경우 2018년까지 기존 정규직 근로자와의 70% 수준으로 올린다. 또 내년부터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도 장기근속 인센티브와 기술수당을 지급하고 특성에 맞는 직급·직책을 부여해 승진 기회를 준다. 정규직 전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 직군 등 차별의 근본 원인을 없애고 지금까지 제한됐던 사내 인트라넷 접근 권한과 사원증 등도 준다. 또 이들에게도 복지 포인트를 지급하고 노사 합의로 휴양시설 이용기회를 주는 등 후생복지 차별도 개선한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