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금융노조 총파업 참여저조 ‘김빠진 파업’

추가 총파업 효과 의문… 금융노조 동원력 미미

농협·기업은행 외 시중은행 노조 참여 저조

금감원 “총파업 규모 1.8만명”… 금노측 “6.5만명”

6만여석 규모 상암월드컵 경기장 절반 채워



[앵커]

금융노조가 성과연봉제를 저지하기 위한 총파업을 진행했습니다. 금융노조는 9만명 동원을 공언해 왔는데, 오늘 총파업의 규모는 1/3수준이었습니다.


노조가 예상과 달리 위세를 과시하지 못한 셈인데, 시중은행들은 총파업 이후 오히려 성제과 도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정훈규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금융노조가 오늘 오전 상암월드컵 경기장에서 성과연봉제에 반대하는 총파업을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정부와 사측이 강압적으로 추진하는 성과연봉제는 ‘쉬운 해고’로 가는 길이라며, 절대 타협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

“어떤 경우에도 성과연봉제 합의하지 않겠습니다. 반드시 성과연봉제 저지하고 승리의 함성을 지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파업 이후에도 정부와 사측이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압할 경우 2, 3차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경고 했습니다.

[녹취]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

“오늘 파업으로 해결이 안된다면 우리는 더욱더 끈질기게 싸워야 합니다.”


하지만 추가 총파업이 유효할지는 의문입니다.

관련기사



오늘 총파업에서 금융노조가 정부와 사측을 압박할 만한 동원력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농협은행과 기업은행 두 노조가 집중적으로 참여한 것 이외에는 나머지 시중은행들의 참여가 극도로 저조했습니다.

특히 신한은행의 좌석에 보이는 인원은 50명도 채 안됐습니다.

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오늘 총파업 규모는 1만8,000명. 반면 금융노조는 6만5,000명이 집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양측의 집계가 큰 차이를 보이지만, 상암월드컵 경기장이 6만6,000여석인 점을 감안할 때, 절반 정도 들어찬 이번 총파업 규모는 3만명 수준인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노조가 공언한 9만명과는 거리가 먼 셈입니다.

이에 따라 총파업의 파급력이 예상보다 작아, 시중은행들은 앞으로 성과제 확대 도입에 고삐를 당길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노조와의 산별교섭을 배제한 각 은행별 개별협상을 적극 시도하거나, 여의치 않으면 금융공기관들처럼 이사회처리를 강행할 수도 있습니다.

[스탠딩]

“9.23 총파업의 규모가 애초 금융노조의 목표였던 9만명에 한참 못미쳐, 추가 총파업을 감행한다 하더라고 사측에 압박감을 주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영상취재 장태훈/ 영상편집 소혜영]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