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수입물가 상승 5년 3개월래 최대, 한국 경제 스테그플레이션 압박 가중

1월 수입물가 상승률 13.2%, 2011년 10월 이후 최고치

국제 유가 상승에 원유·천연가스 수입물가 61.9% 뛰어

경제성장 부진, 물가만 오르는 스테그플레이션 우려

1월 수입물가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인 13%까지 뛰었다. 물가관리를 맡고 있는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스테그플레이션(경제 불황 속 물가상승) 상황이 아니다”라고 하지만,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고공행진하고 있어 소비 위축이 경제성장의 한 축인 내수의 발목마저 묶을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14일 지난달 수입물가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2%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1년 10월(14.5%) 이후 높은 증가율이다. 수입물가는 지난해 10월 0.6% 하락했다가 11월 2.6% 반등한 후 12월(9.2%)과 1월(13.2%) 매월 뛰고 있다.


수입물가가 뛴 가장 큰 원인은 유가 상승이다. 지난해 1월 월평균 배럴당 26.86달러이던 두바이유 가격이 올해 1월에는 배럴당 53.71달러 뛰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입물가(가중치 1,000) 가운데 비중(224.6)이22%에 달하는 광산품의 물가가 전년동월 대비 58.8% 올랐다. 이 가운데 거의 전체를 해외에서 들여오는 석탄과 원유, 천연가스의 수입물가가 61.9% 상승했다. 여기에 원유 등을 기초로 만드는 화학제품(가중치 117.8)의 수입물가도 전년 대비 7.1%, 제1차금속제품(94.7)도 13.3% 물가가 올랐다.

관련기사



이 같은 상황에서 농림수산품(가중치 38.5)의 수입물가 증가폭도 가팔라지고 있다. 농림수산품 수입물가는 지난해 10월 전년 대비 1.9%, 11월 5.8%, 12월 7.0%, 지난달은 7.2% 증가했다. 특히 최근 멕시코와 캐나다 등지에서 수입이 뛰고 있는 돼지고기의 경우 지난달 수입물가가 32.1% 상승했다.

국내에 더해 수입물가까지 상승하면서 서민들의 지갑은 더욱 얇아지고 있다. 통계청의 1월 물가지수에 따르면 달걀(61.9%)과 배추(78.8%), 무(113.8%), 휘발유(8.9%) 등 주요 품목들의 물가는 연일 뛰는 상황. 이 때문에 물가상승이 소비를 줄여 경제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유가상승 등으로 국내 경제가 ‘저성장-고물가’ 구조로 바뀌고 있다며 “스테크플레이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 경제는 2014년 1·4분기 경제성장률이 3.9%를 보인 이후 주요 성장 동력이던 수출 부진 등으로 성장률이 2%대로 떨어졌고 지난해 4·4분기에는 2.3%까지 낮아졌다. 올해도 수출과 내수가 큰 폭으로 회복되지 않는 한 이런 저성장 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 서초구 농협하나로클럽 양재점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연합뉴스서울 서초구 농협하나로클럽 양재점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연합뉴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