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통신소비자 불만 1위는 계약해지 및 위약금 관련 문제

계약불이행, 청약 철회 등 계약 관련 내용이 통신 서비스 상담 반을 넘어

소비자단체 10곳이 올해 1∼6월 접수한 통신 소비자 상담 사유/소비자공익네트워크·김경진 의원실=연합뉴스소비자단체 10곳이 올해 1∼6월 접수한 통신 소비자 상담 사유/소비자공익네트워크·김경진 의원실=연합뉴스



통신소비자들의 불만 1위는 계약해지 및 위약금 관련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실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주최한 통신 소비자 정책 토론회에서 올해 1∼6월 소비자단체 10곳이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해 접수한 사례 1만7,185건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상담 사례 중 통신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72.9%(1만2,529건)로 가장 많았으며, 단말기 22.7%, 유료방송 3.6% 가 뒤를 이었다. 또한 상담 사유는 통신 단일서비스는 계약해제·위약금(24.4%), 계약불이행(21.8%), 청약철회(13.4%) 등 계약 관련 내용이 59.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결합상품 역시 계약해제·위약금(41.8%)과 불이행(20.6%)으로 인한 상담이 총 62.4%였다. 이혜영 소비자공익네트워크 본부장은 이에 대해 “통신업체의 계약해지 방어 수단에 대한 부작용으로 소비자 불신이 초래되고 있다”며 “결합상품 계약 해지 시 위약금 문제를 개선하고, 소비자 중심의 판매 가이드를 마련해야 한다”며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김순복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사무처장은 “해지 단계에서는 불완전한 설명이나 계약 시 제공하기로 한 혜택을 주지 않아 소비자 불만이 많지만, 계약서상에 없는 구두상의 약속이라 상담에 어려움이 있다”며 “계약서 표시 제도를 개선하고, 이통사의 대리점 관리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단말기 관련 상담 건수는 품질 및 AS 불만과 관련한 내용이 전체의 42.8%로 가장 많았다. 업체별로는 통신서비스는 LG유플러스 관련 상담이 32.0%로 가장 많았고, KT 17.9%, SK텔레콤 17.1% 가 뒤를 이었다. 단말기의 경우 삼성전자 25.8%, LG전자 9.0%, 애플 8.1% 순으로 상담이 많았다. 또한 단말기 상담의 51.1%는 이용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에 관련된 것이었고, 통신서비스 및 결합상품은 해지 단계 상담이 전체의 40% 이상이었다. 그 밖에 알뜰폰의 경우 계약해지 단계 상담이 53.5%로 가장 많았고, 상담 건수의 52.9%는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은 “알뜰폰은 고령층 소비자가 많고, 전화권유나 방문판매 비중이 높아 계약단계부터 충분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