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국내·외 주요 기관들과 함께 ‘디지털 트윈십’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한다. 대우조선은 ‘노르시핑 2019’가 열리고 있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핀란드의 해운 정보기술(IT) 전문업체인 NAPA, 오스트리아 엔진 시뮬레이션 전문업체 AVL LIST, 한국해양대와 함께 ‘디지털 트윈십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5일 밝혔다. 노르시핑은 그리스 포시도니아, 독일 SMM과 함께 세계 3대 조선 박람회로 꼽힌다.
디지털 트윈은 디지털 가상공간에 실물과 동일한 물리법칙으로 동작하는 쌍둥이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입력해 각종 모의실험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실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최근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달하면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디지털 트윈십은 이를 선박에 적용해 실제 운항 중인 선박과 동일한 조건의 디지털 가상선박을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 실시간 운항 데이터를 입력하면 실제 운항과 똑같은 상황을 가상공간에 만들어 낼 수 있다. 이후 다양한 모의실험을 통해 현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운항 방식을 찾는다.
이번 공동 연구에서 대우조선은 실제 선박 건조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트윈십의 디자인 개발과 전체 프로젝트 추진을 총괄하고, 한국해양대는 위성통신을 활용한 선박 데이터 교환 인프라를 구축한다. NAPA는 디지털 선박에 대한 통합 운영 프로세스를, AVL LIST는 디지털 엔진 관련 시뮬레이션을 맡는다. 2021년까지 시제품 개발과 원격 운영센터 구축을 완료하기로 했다. 대우조선 측은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선박을 운항·관리하고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한신 기자 hspar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