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성현 2기 경사노위 위원장, "노사 충돌 의제보다 미래지향 의제 중점"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2기 경사노위’ 출범을 앞두고 “노사가 극렬히 부딪히는 의제보다 미래지향적 의제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본위원회보다 의제별 위원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고 양극화·임금격차 해소를 중점적으로 논의해 ‘사회적 대화 무용론’을 돌파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 위원장은 5일 경사노위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한 양극화 해소, 사회안전망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며 “양극화 해소와 고용플러스위원회를 둬 이 논의를 집중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국민연금 개혁 등이 타협을 이루지 못하고 모두 좌초되면서 ‘사회적 대화 무용론’이 제기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노총이 대의원대회를 거쳐 경사노위에 참여하는 것이 불투명한 만큼 본위원회가 아닌 의제별 위원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독려할 예정이다. 문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경사노위 대의원대회를 거쳐 직접 참여 여부에 초점을 두면 너무 협소하다”며 “(참여를) 바란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공공기관 위원회’에 민주노총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임금피크제·성과연봉제 등으로 현재 공기업 노사에서는 임금체계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고 정부에서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방향에 대해서는 입장이 갈린다. 공공 부문 노조는 한국노총 공공노련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등으로 양대노총이 나누고 있는 상황이다. 문 위원장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을 분리하지 말고 논의하자고 이야기가 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 52시간 근로제의 보완입법적 성격이 강해진 유연근로제에 대해 문 위원장은 “탄력근로제를 두고 노사정이 합의한 내용도 국회 처리가 안 되고 있는데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논의하자고 하면 한국노총이 받겠느냐”며 “탄력근로제도 안 되고 있는데 (경총이)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자꾸 하자고 하면 논의가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