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제가 더 잘생겼죠"...IBM이 공개한 '디지털 휴먼'

외모서 대화기술까지 사람처럼

"AI, 인간의 똑똑한 조수될 것"

장화진 한국 IBM 대표가 5일 서울 강남구 르메르디앙서울호텔에서 열린 ‘IBM 데이터 앤 AI 포럼’에서 국내 최초 공개한 디지털 휴먼 ‘빈센트’와 대화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IBM장화진 한국 IBM 대표가 5일 서울 강남구 르메르디앙서울호텔에서 열린 ‘IBM 데이터 앤 AI 포럼’에서 국내 최초 공개한 디지털 휴먼 ‘빈센트’와 대화하고 있다/사진제공=한국IBM



“외모는 이국적이지만 저보다 한국말을 더 잘하는 친구를 소개합니다.” 장화진 한국IBM 대표의 소개를 받고 등장한 것은 무대 앞 화면 속 한 청년이었다. 실제 사람이 아닌 이른바 ‘디지털 휴먼’이다.

한국 IBM은 5일 서울 강남구 르메르디앙서울호텔에서 열린 ‘IBM 데이터 앤 인공지능(AI) 포럼’에서 IBM이 AI ‘왓슨’의 상용화를 위해 진행 중인 디지털 휴먼 ‘빈센트’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빈센트는 자이언트스탭에서 개발된 AI로, IBM의 AI ‘왓슨’의 대화기능을 탑재해 외형뿐만 아니라 대화기술까지 실제 사람에 가깝게 구현됐다.

관련기사



장 대표와 빈센트가 현장에서 나누는 대화는 실제 사람들이 나누는 대화 못지 않게 자연스러웠다. 빈센트는 “이 자리에 함께 할 수 있어서 영광”이라며 “오프닝 공연이 너무 멋져서 K팝 공연에 온 줄 알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그는 “제가 대표 이사님과 닮지 않았냐”며 “아니다, 제가 좀 더 잘 생긴 것 같다”고 농담을 던지며 분위기를 이끌기도 했다.

빈센트와의 깜짝 대화 후, 장 대표는 “AI는 사람을 대체하진 못하더라도 똑똑한 조수 역할을 할 것”이라며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고 이를 통해 AI를 잘 구축해서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조연설에서 앨리스 다겔리언 IBM 데이터 및 AI 사업부 글로벌 영업 부사장은 “2021년이 되면 AI로 새로 생기는 기업 규모는 2조9,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며 “지금 당장 AI를 향한 여정을 시작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라며 AI를 활용한 비즈니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