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해외직구가 싸다고?" 수입 화장품 86%는 국내가 더 저렴

샤넬 화장품 매장 모습/연합뉴스샤넬 화장품 매장 모습/연합뉴스



해외 유명브랜드 화장품 구매에 대한 해외 직구가 일반화된 가운데 해외 온라인몰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국내 온라인쇼핑몰에서 제품을 사는 것이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소비자원은 랑콤과 맥, 바비브라운, 샤넬, 에스티로더 등 5개 수입 화장품 브랜드 15개 제품의 국내외 가격을 비교 조사한 결과 단품 구매 시에는 13개 제품이, 면세 한도를 채워 구매할 때는 8개 제품의 국내 구매가가 해외 직구보다 더 저렴했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앞서 6월 25일부터 27일 이틀간 공식 온라인몰과 네이버쇼핑, 해외쇼핑몰 등에서 15개 제품의 최저가와 현지 세금, 배송료 등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단품으로 구매할 때는 13개 제품의 해외직구 가격이 국내 구매가보다 적게는 0.7%에서 많게는 95.3%까지 더 비쌌다.


수입 화장품 여러 개를 한꺼번에 구매하는 경우에도 8개 제품(53.3%)이 국내구매가 해외직구보다 비교적 저렴했다.

관련기사



바비브라운의 럭스 립칼라 히비스커스 제품의 해외구매 가격이 국내가보다 95.3%나 더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에스티로더 퓨어컬러 러브 립스틱(68.2%↑), 맥 매트 립스틱 칠리(45.2%↑) 등도 해외가격이 오히려 더 비쌌다.

다만 랑콤 ‘이드라젠 집중 수분크림’(50㎖)과 샤넬 ‘블루 쎄럼 아이 아이 세럼’(15㎖)은 어떤 조건에서도 해외직구가 더 저렴했다.

소비자원은 “단품으로 구매할 때는 총 가격에서 해외 배송 대행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직구의 이점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화장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할 경우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의 수량과 브랜드를 확인하고 국내구매가와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인 소비”라며 “사은품, 현지 배송료 등 거래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