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동국제강, 브라질 CSP 자본잠식 이슈가 발목"

미래에셋대우 리포트

미래에셋대우는 동국제강(001230)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는 여전히 조심스럽다”는 판단을 내렸다. 브라질 현지에 두고 있는 제철소인 CSP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부채 부담도 크다는 이유다. 투자의견은 중립으로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는 설정하지 않았다.

이재광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철강가격도 반등세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으로 업황에 대한 최악의 상황은 지난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동사(동국제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는 여전히 조심스럽다고 판단한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이 같이 판단한 가장 큰 이유로 CSP의 경영 악화를 꼽았다. CSP는 2016년부터 브라질 현지에서 가동되기 시작한 제철소로 연 300만톤의 슬라브 생산능력을 갖춘 곳이다. 동국제강(지분율 30%)과 포스코(30%)를 비롯해 세계 최대 철광석 회사인 브라질 발레(50%)가 공동으로 출자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CSP는 지난해 이후로 꾸준히 자본잠식에 빠져 있다. 비록 올해 5억 달러 규모의 유상증자가 시행됐지만 다시금 지난 3·4분기 자본잠식 상태로 전환됐다. 이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으로 슬라브 가격이 하락하고 브라질 헤알화가 추가 약세를 보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동국제강은 CSP에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1억5,000만달러 규모의 출자를 담당했다.

부채 부담도 부담스런 요인으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3·4분기 말 동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순차입금은 2조4,000억원이며 부채비율도 186%로 연 이자비용이 약 1,000억원 정도 발생”한다며 “재무구조 개선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나 낮은 수익성 및 CSP 추가 출자 등을 감안하면 단기간 내에 개선되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국내 건설향 수요비중이 높은 동사 특성상 향후 국내 건설 경기 부진이 전망되는 상황은 여전히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