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강아지똥' 선생님이 손수 만든 동시집, 48년 만에 빛보다

펜으로 쓰고 색종이 오려 붙인

동시집 '산비둘기' 정식 출간




“옛날부터/그랬을까?//산에 산에/아기 꽃나무들이/저절로 그렇게/예쁜 걸까?//분홍 꽃/노랑 꽃/자줏빛 꽃(산에 피는 꽃)”

아이들을 위한 착한 이야기를 쓰는 데 평생을 바쳤던 동화 작가 권정생(1937년-2007년)의 동시집 ‘산비둘기가’ 48년 만에 세상에 나왔다.

1972년 서른여섯 청년 권정생이 사인펜으로 직접 쓰고 그리고 색종이를 오려 붙여 만들었던 수제 동시집이다. 당시 권정생은 동시집을 단 두 권만 만들어 그 중 한 권은 본인이 소장하고, 나머지 한 권은 ‘기독교 교육’ 편집인이던 오소운 목사에게 선물했다.


이번에 도서출판 창비를 통해 출간될 수 있었던 건 2년 전 오 목사가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측에 그간 소장하고 있던 동시집을 기증한 덕분이다. 이에 창비는 권정생이 직접 만든 표지를 그대로 살려 책으로 만들었다. 원본 삽화도 그대로 살렸다.



작가 권정생.작가 권정생.


‘산비둘기’에 실린 시는 모두 25편이다. 그 중 9편이 어머니에 대한 시다. 권정생의 업적을 기리는 데 앞장 서고 있는 시인 안상학은 “권정생에게 어머니는 세상 어떤 것과도 비길 수 없고, 바꿀 수 없는 독보적 존재였다”며 “그가 참잠했던 성경 속 하느님과 예수님을 훌쩍 뛰어 넘는 것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비둘기 속에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느꼈던 상실감과 그리움이 담겨 있다. 깊고 복잡한 감정을 간결한 동시로 표현하기까지 얼마나 많이 생각했을 지 상상해보게 되는 대목이다.

그 외에도 동시집에는 하느님에 관한 시, 자연과 인간에 관한 시 등 청년 권정생의 내면을 드러내는 작품들이 실려 있다. ‘강아지똥’ ‘아기너구리네 봄맞이’ ‘몽실언니’등 널리 알려진 다른 동화, 소설처럼 동시 역시 아이들에 대한 진실한 마음으로 가득하다.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