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28일 이슈브리프 ‘일문일답’ 제 3호를 통해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밝혔다. 일자리위원회의 의뢰로 현대리서치연구소가 국민 1,000명(만19~65세)을 조사한 결과, 공공부문 및 청년 일자리 창출에 73.7%가 찬성했다. 특히 2030세대의 찬성 비율이 77%로 높게 나타났다. 2030세대 중에서는 미취업자(찬성 77%)뿐만 아니라 임금근로자의 찬성 비율도 78.5%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사태 후 현실화된 고용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공공 및 청년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올 4월 기준 청년(15~29세)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 측은 “공공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은 민간의 고용창출 여력이 부족한 위급 상황에서 일을 희망하고 할 수 있는 청년이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당사자인 청년도 직접 일자리 확대에 찬성하는 등 일자리에 대한 청년층의 기대와 열망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이 혁신 산업 분야에서 직무 경험과 역량을 쌓아 코로나19 종식 이후 빠른 시간 내에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준비와 관리를 철저히 하고 점검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용기 부위원장은 “청년들의 일자리에 나라의 미래가 있다”면서 “민간과 함께 청년보장 구현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을 찾아서 메꾸어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