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뉴로모픽 카메라 초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방법 개발

지스트 최종현·카이스트 윤국진 교수 공동연구 성과

뉴로모픽 카메라의 초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사진. 오른쪽 네번째가 연구팀이 개발한 연구성과의 최종 출력본으로 세번째 RGB 이미지 보다 선명하게 잘 복원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지제공=지스트뉴로모픽 카메라의 초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사진. 오른쪽 네번째가 연구팀이 개발한 연구성과의 최종 출력본으로 세번째 RGB 이미지 보다 선명하게 잘 복원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지제공=지스트



초고속 영상 촬영이 가능한 뉴로모픽 카메라(neuromorphic camera)의 해상도를 높이는 이미지 생성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지스트(GIST)는 인공지능(AI)대학원의 최종현 교수가 카이스트 윤국진 교수와 공동연구로 뉴로모픽 카메라의 초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방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뉴로모픽 카메라는 ‘이벤트 카메라’라고도 부르며, 픽셀당 밝기의 변화 값을 기록하는 센서로 이미지를 얻어내는 장치이다.


이 카메라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초고속 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큰 밝기 차이와 급격한 밝기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장점은 자율 주행차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다만 고속으로 이미지 처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상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뉴로모픽 카메라의 출력을 고품질의 이미지로 변환해 주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해당 연구는 16∼17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컴퓨터 비전 학술대회인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콘퍼런스 2020’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최 교수는 “그동안 이벤트 카메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많았지만, 고해상도 기술을 개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해상도가 낮아 문제가 됐지만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광주=김선덕기자 sdkim@sedaily.com

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