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中企 71만명 일시휴직...실업대란 현실화 우려

중기硏·통계청 9월 현황조사

절반이 사업부진·조업중단 탓

코로나 악화 땐 대거 실업 내몰려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서둘러야"

1015A18 사업부진 휴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일시 휴직자가 71만 여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절반인 35만 여명이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 등으로 인한 일시 휴직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중소기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일시 휴직자는 71만2,000명으로 이 가운데 50.1%인 35만7,000명은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 때문에 휴직 상태에 놓인 것으로 파악됐다.


종사자 1~4인 소규모 사업체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 휴직자는 15만4,000명으로 해당 사업체 일시 휴직자의 58.3%를 차지했고, 5~299인 중소기업은 20만2,000명으로 45.1%였다.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의 일시 휴직자(7만6,000명) 중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 사유가 10.5%(8,000명)에 그친 것과 대조된다.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시 휴직자가 급증한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 2019년 9월에는 중소기업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에 따른 일시 휴직자가 4만3,000명으로 전체 일시 휴직자의 14.1% 수준에 머물렀다. 중소기업의 사업 부진이나 조업 중단으로 인한 일시 휴직자는 지난 3월 96만4,000명으로 치솟다가 감소했는데 지난 9월 다시 급증한 것이다. 일시 휴직자는 직업이나 사업체가 있지만 일시적인 병, 휴가·연가, 일기불순, 노동쟁의, 사업 부진, 조업 중단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경우가 해당하며 사유가 해소되면 즉시 복귀 가능해야 한다.

작년과 달리 올해 일시 휴직자가 눈에 띄게 많아진 것은 코로나19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숙박·음식업과 판매 서비스업 등 대면 업종이 많은 중소기업이 큰 타격을 받으면서 직원들이 일시 휴직자로 내몰리는 처지가 됐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자칫 기업이 폐업하거나 상황이 더 나빠지면 이들이 실업자가 될 수 있다”며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비중을 67%에서 90%로 다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