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5주 컴퓨터 게임으로 ‘우울증상 점수’ 37%↓ 효과

서울대병원 신민섭 교수팀 ‘치료용’ 효능 확인


우울 증상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5주 동안 치료용 컴퓨터 게임을 하게 했더니 ‘우울증상 점수’가 평균 37%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신민섭 교수팀이 우울 증상이 있는 청소년 50명을 반씩 치료용 컴퓨터 게임 참여군과 미참여군으로 나눠 사전·사후 설문검사를 하고 우울증상 점수(PHQ-9 척도)를 비교한 결과다.




인지행동 치료용 게임 ‘행복누리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인지행동 치료용 게임 ‘행복누리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




게임 참여군은 5주 동안 10회(주 2회)에 걸쳐 우울감 극복하기, 친구 사귀는 법, 학습능력 증진 훈련을 할 수 있는 인지행동 치료용 게임(행복누리 프로그램)을 했다. 게임 참여군은 우울감이 줄고 주의력, 삶의 질, 자존감이 향상됐다. 우울증상 점수도 평균 37% 감소했다.



신 교수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걸 꺼리는 청소년들이 컴퓨터 기반 치료 프로그램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며 “우울한 청소년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어 이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대면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도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될 수 있고”고 말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25%는 우울감을 경험했으며 34%는 학업문제, 가족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또 201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행복누리 프로그램’의 인지행동 치료는 3단계로 구성돼 있다.‘행복누리 프로그램’의 인지행동 치료는 3단계로 구성돼 있다.


반면 초고속 인터넷과 휴대폰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컴퓨터·스마트폰 게임을 활용한 인지행동 치료 시스템을 청소년의 우울증상 완화, 우울장애 예방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인지행동 치료는 ▷자신과 타인, 세상과 미래에 대한 부정적 생각과 역기능적 신념을 찾아내 합리적이고 대안적인 생각과 신념으로 바꾸도록 돕는 인지치료 ▷즐거움을 주는 활동 증가시키기, 주간활동 계획표 등을 통해 행동 활성화, 적응적인 대처행동과 사회기술 훈련 등 행동치료로 구성돼 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정서장애 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에 발표됐다.

/임웅재 기자 jaelim@sedaily.com


임웅재 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