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속보] 文 "세계적 백신 부족·불평등, 대한민국이 앞장서서 해결하겠다"

"인류 위기 극복에 기여할 것...지금이 도전 적기"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청와대에서 열린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5일 청와대에서 열린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적 백신 부족난을 앞장서서 해결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 보고대회’에서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확산하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상황이 다시 악화하고 있다”며 “끝이 잘 보이지 않는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어수단은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최근 발생한 확진자와 사망자 대부분이 백신 미접종자 중에서 나오고 있다”며 “백신 접종이 위중증률과 치명률을 크게 낮추는 등 백신은 코로나로부터 인류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 주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하지만 세계적인 백신 부족 상태가 지속되고 있고 특히 백신 보급의 국가별 격차가 심각하다. 일부 백신 부국들은 ‘부스터 샷’을 계획하는 반면 다수의 저소득 국가는 내년까지도 접종 완료가 어려운 백신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모든 나라에 백신이 충분히 보급되지 않고서는 계속되는 변이의 발생과 코로나 확산을 막을 수 없다. 결국 문제 해결의 근본 해법은 백신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두고 “대한민국이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 ‘글로벌 백신 허브’를 국가전략으로 강력히 추진해 인류 공동의 감염병 위기 극복에 기여하겠다. 우리는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고 현재 세계적으로 안전성과 효과성을 인정받는 코로나 백신 네 종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백신 산업에 대한 기업들의 도전 의지와 정부의 육성 의지도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백신 분야에 있어서는 여전히 기술 격차가 크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낮다. 지금이 글로벌 백신 허브를 향해 과감하게 도전해야 할 적기”라며 “정부는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하여 인류의 보건 위기 대응에 기여하고 백신 산업을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힘 있게 육성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 첫 회의를 겸해 열렸다. 글로벌 백신 허브화는 한국이 세계 2위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토대로 대규모 백신 생산·보급 기지로 자리잡겠다는 정부 구상이다. 관련 업무를 주도할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위원회’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지만 첫 회의 만큼은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며 국산 백신 개발을 향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이기로 했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