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화이자, 접종 2개월 후 효과 '뚝'…모더나는 더 불안한데

화이자 백신/연합뉴스화이자 백신/연합뉴스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접종 완료 후 2개월이 지나면 면역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 중증 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는 유지된다.

관련기사



CNN 방송은 6일(현지 시간) 미국 매사추세츠 의학 협회가 매주 발행하는 의학 저널인 ‘뉴잉글랜드저널 오브메디슨(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에 실린 연구결과를 인용해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이 연구는 이스라엘과 카타르에서 진행됐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에서 보건의료인력 48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는 접종 후 두 달이 지나자 항체 수준이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65세 이상의 남성과 면역력이 저하된 대상자에서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이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백신을 접종한 경우, 백신만 접종했을 때보다 항체 형성이 더욱 강하게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1차 접종 후 급속히 면역력이 올라가기 시작해 2차 접종을 마치고 한 달 뒤 항체가 정점에 달했다. 그러나 이후 면역력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면역력 감소는 접종 4개월 이후 빨라졌으며, 이후 항체가 20%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다만 그러나 입원과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는 90%대로 여전히 높았다”고 보고했다. 한편 화이자 측도 “백신 접종 완료 후 몇 달이 지나면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인정했다.

한편 모더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국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일부 나라에서는 젊은 층의 모더나 접종을 중단했다. 정부는 이달 들어 모더나 백신 물량만 총 400만회분을 도입했다. 한 네티진은 “모더나는 더 불안하다”며 ”화이자는 결국 추가 접종을 더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