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동해안 산불 이재민 소중한 주권행사…임시 신분증 발급 받아 투표 참여도

■대선 이모저모

"도장 안찍힌다"며 용지찢고 실랑이

미 투표자가 투표한 것처럼 표기돼

투표용지 훼손, 정전 등 곳곳 소동

동해안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강릉시 옥계면 이재민들이 9일 크리스탈밸리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강릉=연합뉴스동해안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강릉시 옥계면 이재민들이 9일 크리스탈밸리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강릉=연합뉴스





동해안에서 발생한 역대급 산불 피해 속에서도 이재민들이 제20대 대통령 선거 투표에 참여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했다.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강원도 삼척·강릉·동해·영월 및 경북 울진 등 피해 지역 주민들은 황망한 와중에도 이른 아침부터 투표장을 찾았다.

이재민 김강수(77) 씨는 이날 오전 울진읍 울진초등학교에서 투표를 했다. 김 씨는 “산불로 집이 모두 탔지만 투표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이은 산불 진화에 피로가 쌓인 진화 대원들도 짬을 내 한 표를 행사했다. 삼척시 사곡리 산불 현장을 밤새워 지킨 한 소방대원은 “사전투표를 못해 근무 교대 이후 복귀하면서 투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산불로 집과 함께 신분증이 소실돼 임시 신분증을 발급받아 투표에 참여하는 주민도 있었다. 울진군 주민인 전남중(84) 씨는 “불이 나는 바람에 집에서 신분증을 못 가져왔는데 면사무소에서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서를 주더라”며 “국민이면 다 투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전했다.

이날 전국 곳곳 투표장에서는 투표용지 훼손 등 크고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경기도 하남시 신장2동 투표소에서 A 씨가 “도장이 제대로 찍히지 않는다”는 이유로 투표용지 교체를 요구하다가 선관위가 불가 통보를 하자 투표용지를 찢어버렸다. 투표지는 무효 처리됐다.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제12투표소(주곡초등학교)에서도 유권자 B 씨가 “도장이 반밖에 안 찍힌다”며 항의했고 경찰까지 출동했지만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대구에서는 60대 남성 C 씨가 투표지를 갖고 사라지는 일이 발생했다. C씨는 기표한 후 투표용지를 바꿔달라고 투표소 관계자에게 요구했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투표지를 갖고 그대로 간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선거 관련 자료 등을 토대로 이 남성을 수사하고 있다.

경기도 오산과 경북 예천 등에서는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가 이미 투표한 것으로 표기되는 황당한 사례가 나왔다. 예천의 한 초등학교에 투표하러 갔던 D 씨는 자신이 이미 투표한 것으로 선거인 명부에 기록된 것을 확인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과 경북선관위는 D 씨와 동명이인이 잘못 서명했거나 선거 사무원의 실수, 명의도용 가능성 등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서울 강동구의 한 투표소에서는 투표를 시작한 오전 6시부터 약 38분가량 정전이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전기 관리실 문을 부수고 안으로 들어간 뒤 복구했지만 30여 분간 투표가 진행되지 못해 시민들이 혼란을 겪었다. 전국종합


전국종합=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