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경제정책방향]용적률 500%까지 확대되나…정부, '고밀주거지역' 신설 추진

尹 정부, 용도지역제 개편 추진

고밀주거지역 신설해 도심·역세권 개발

도시혁신계획·복합용도계획구역도 도입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용산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연합뉴스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용산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에서 용도지역제도의 개편을 추진한다.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 온 용도지역제를 느슨하게 해 보다 주택 공급 및 복합 개발을 용이하게 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정부는 16일 발표한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서 “융·복합 시대에 맞춰 도시공간의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도지역제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고밀주거지역을 신설해 기존 저이용된 지역이 고밀화된 주거지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현재 용도지역제도 하에서 주거지역 가운데 주택 건립 등에 관한 조건이 가장 약한 지역은 3종 일반주거지역이다.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는 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200%~300% 사이로 제한된다. 주거와 상업이 모두 가능한 준주거지역에서는 주상복합 형태로 아파트가 지어지는데 이 경우 건폐율 70% 이하, 용적률 200%~500%가 적용된다. 역세권 복합개발지구로 지정된 준주거지역의 경우 용적률 상한이 700%까지 적용되기도 한다.

앞서 정부 및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에서 용적률 500% 확대 등을 논의했던 만큼 신설되는 고밀주거지역 최대 용적률이 500% 수준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앞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민간 재개발·재건축에 용적률 500%의 혜택을 주고 늘어난 용적률 절반을 기부채납 받아 청년층과 무주택 가구를 위한 주택을 공급하는 ‘역세권 첫 집’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기 신도시 재건축과 관련해서도 용적률 500%를 적용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번에 추진하는 ‘고밀주거지역’ 신설은 이 같은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맞물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오는 3분기 중 250만 가구 이상을 공급하는 ‘주택공급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신도시나 신규 주택지구 개발이 아닌 수도권 등 주요 도시 도심 지역에 주택을 주로 공급하기로 한 만큼 용도지역제 개편을 통해 주택 공급을 촉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개발이 완료된 도심 지역에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재개발·재건축 밖에 방법이 없는 상황 속 용적률 상향을 통해 기존 주민들에 개발 유인을 제공하고 기부채납과 같은 방안을 통해 공공임대주택 등 주거 약자를 위한 대책 또한 마련할 수 있다. 정부는 이외에도 민간사업자가 규제 없이 자유롭게 개발 가능토록 ‘도시혁신계획구역’과 주거·상업·여가 등 도시기능의 융복합을 위한 ‘복합용도계획구역’을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용도지역제 개편에 따른 부작용 또한 우려되는 상황이다. 용적률이 상향되거나 개발제한 규제가 사라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다시 불붙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난개발 등으로 경관 및 주변 지역 일조권을 해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다만 이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에서 민간 재개발·재건축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면서 공공임대주택을 일정 비율 이상 넣도록 하는 등 제한적으로 용도지역 변경(상향)을 활용하리라는 예측 또한 나온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