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사우디 왕따냐' 질문 나오자…바이든 면전서 비웃은 왕세자

회담 이후에도 양측 의견 엇갈려…외신 "바이든 빈손" 혹평

걸프국 정상회의 참석하는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로이터연합뉴스걸프국 정상회의 참석하는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로이터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세이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때 '왕따'로 만들겠다고 했던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비웃는' 장면이 포착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7일 트위터에 게시된 영상을 보면 전날 바이든 대통령과 무함마드 왕세자 간 회담 현장을 취재한 한 외신 기자는 풀 기자단이 퇴장하는 과정에서 무함마드 왕세자를 향해 암살된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를 거론하며 "그의 유가족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질문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은 채 고개를 돌렸다.



그러자 또 다른 기자가 "바이든 대통령님, 사우디아라비아는 아직도 왕따입니까?(President Biden, is Saudi Arabia still a pariah?)"라고 외쳤다. 카슈끄지 암살 배후로 무함마드 왕세자를 지목하며 '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던 바이든 대통령의 과거 발언을 겨냥한 질문이다.

관련기사



바이든 대통령은 해당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지만, 그 순간 자리에 놓인 서류를 응시하던 무함마드 왕세자가 옅은 미소를 띠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외신은 왕세자의 표정을 혼자 뭔가를 느껴 우쭐해지면서 내뱉는다는 뜻을 담은 ‘웃음(smirk)’으로 묘사했다.

카슈끄지 관련 질문을 처음 했던 미 NBC 소속 피터 알렉산더 기자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무함마드 왕세자가 살짝 웃었고 이어 사우디측 관계자가 내 팔을 꽉 붙잡았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회담 이후에도 바이든 대통령은 원유 증산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지만, 파이살 빈 파르한 사우디 외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 방문 기간 중 구체적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다.

순방 후 외신에서는 자존심을 굽힌 미국이 결국 빈손으로 돌아왔다는 혹평이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에너지 위기 해소를 위해 '인권 정책 후퇴'라는 비판을 감수하며 사우디아라비아로 향한 바이든 대통령이 일종의 '굴욕'을 당한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