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화이자 맞은뒤 국산 1호 접종했더니…"오미크론 방지 효과"

보건연구원, 3차로 스카이코비원 맞으면 중화능 상승

출하 중인 스카이코비원. 사진 제공=SK바이오사이언스출하 중인 스카이코비원. 사진 제공=SK바이오사이언스




화이자·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얀센 등의 코로나19 백신을 1~2차 접종한 뒤 국산 1호 백신인 스카이코비원멀티주를 접종한 경우 오미크론 변이 BA.1과 BA.5 감염 방지 효과가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스카이코비원으로 추가접종 후 국내에서 유행하는 오미크론 변이 BA.1과 BA.5에 대한 교차 중화능(바이러스를 무력화해 감염을 예방하는 능력)을 확인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현재 스카이코비원은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의 기초(1·2차)접종으로만 사용하게 돼 있다. 이번 연구는 스카이코비원을 추가접종 백신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검증했다는 의미가 있다는 게 보건연구원의 설명이다.



보건연구원은 스카이코비원의 품목허가에 필요한 임상3상 시험 검체 분석과 델타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 중화능 분석을 수행했다.

관련기사



이 분석은 스카이코비원이 추가접종에서 BA.1, BA.5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얼마나 중화항체를 형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스카이코비원으로 추가접종을 받은 5개 대상군을 분석한 결과, 접종 전보다 BA.1에 약 51.9배, BA.5에 약 28.2배의 중화능 상승효과가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5개 대상군은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으로 기본(1·2차)접종을 한 대상군과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로 1·2차 교차접종을 한 대상군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화이자, 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제형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한 후 스카이코비원으로 3차접종을 했을 때 초기 우한주와 BA.1, BA.5 변이 바이러스 모두에서 높은 중화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번 분석을 통해 국내 개발 백신의 추가 접종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