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신한, 열흘만에 또 대출금리 낮춰…인하경쟁 불붙은 은행

이자부담 경감 취지에 공감

잔액 적정수준 유지 필요성

예대금리차 공시에 '압박'도





시중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정부가 소비자의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대금리차, 금리인하요구수용률 등을 공시하면서 대출금리 인하를 간접적으로 압박하는 상황인 데다 은행 역시 금리 상승으로 줄어드는 대출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5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전세대출의 금리를 최대 0.3%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앞서 지난달 24일 직장인 신용대출을 포함한 대부분의 개인신용대출 금리와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금융채 5년물 지표금리)·변동금리(코픽스 지표금리) 등을 최대 0.5%포인트 내렸는데 열흘 만에 추가 인하에 나선 셈이다. 이번 금리 인하로 신한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0.3%포인트, 주요 전세자금대출 상품 금리는 0.2%포인트 더 낮아진다. 아울러 의사 등 전문직, 공무원 등 일부 고소득·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상품의 금리도 5일부터 0.3%포인트 하향 조정된다.





타 은행들도 줄줄이 대출금리를 낮추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26일 전월세보증금대출 금리를 최대 0.41%포인트, 신용대출 금리도 평균 0.28%포인트 내렸다. NH농협은행도 같은 날 NH새희망홀씨대출, NH청년전월세대출에 최대 0.5%포인트, 0.3%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농업인에 대한 우대금리도 최대 0.3%포인트로 늘렸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25일부터 주택담보대출 혼합금리형 상품의 금리를 0.2%포인트 인하했다.

관련기사



이는 최근 은행들이 가계대출 감소세가 심상치 않다고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8월 말 기준 696조 4509억 원으로 7월 말보다 9858억 원 또 감소했다. 올해 1월 이후 8개월 연속 내리막이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이자 부담 경감 취지에 동조하는 한편 감소 중인 대출 잔액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현실적 이유도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예대금리차·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 공시 이후로 ‘은행들의 이자 장사’ 지적에 대한 부담감도 함께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2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는 은행별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가 처음 공시됐고 앞으로 한 달마다 관련 통계가 공개되는 만큼 은행들은 지속적으로 이에 대한 비판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