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넘게 이어진 미국 철도 노조와 사측 간 임금협상이 예정된 파업일을 닷새 앞두고도 타결되지 않으면서 공급망 차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또다시 물류 대란 위기에 직면한 조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경제에 용납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노심초사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12일(현지 시간) 미국 철도 노조 12곳 중 2곳이 사측과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두 노조에는 전체 철도 노동자 11만 5000명의 절반이 넘는 6만여 명이 소속돼 있다. 이들이 16일 자정까지 사측과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법적으로 다음날부터 즉각 파업에 돌입할 수 있게 된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식량 및 연료 공급이 중단되고 교통도 마비되는 등 또다시 ‘물류 대란’이 벌어지면서 간신히 둔화세로 돌아선 인플레이션이 다시 악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산업계는 미국 화물 운송의 30%를 차지하는 철도 운송이 중단될 경우 하루에 최소 20억 달러(약 2조 7000억 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신속한 합의를 촉구하고 나섰다. 소식통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가 수차례 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바이든 대통령도 직접 노사 양측과 접촉한 상태다. 마티 월시 노동장관은 협상 타결을 위해 전날 해외 출장을 연기하기도 했다.
2020년에 시작된 철도 노사 협상은 국가중재위원회(NMB)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이에 올 7월 바이든 행정부는 대통령비상위원회(PEB)를 구성하고 양측의 의견을 수렴해 ‘2024년까지 임금 24% 인상, 보너스 5000달러’ 등의 협상안을 내놓았다. 당시 60일간의 중재 기간을 둬 철도 운행 중단은 막았지만 이 정부의 권고안마저 채택되지 않아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국상공회의소는 이날 성명에서 노사가 자율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연방법상 파업 연기·중단 권한을 가진 의회가 즉시 개입할 것을 촉구했다. 수잰 클라크 상의 회장은 "전국적인 철도 파업은 경제적 재앙"이라며 “상품 운송이 멈추고 매대가 텅 빌 것이며 사업장이 문을 닫고 물가 부담은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