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외신, 尹대통령 강제동원 해법에 “전략적 결단…日 화답해야”

“尹 정치적으로 어려운 행동 취헤…日 호응 필요해”

“美 빠른 반응…한일관계 개선에 관심 있다는 증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에 대한 해법을 먼저 제시하자 외신들도 한일관계의 향방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일부 언론은 한국 정부의 조치를 호평하며 일본의 호응을 주문하기도 했다.



7일 대통령실 해외홍보비서관실에 따르면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를 지냈던 제임스 줌월트 재팬-아메리카 소사이어티 회장은 미국의 소리(VOA)에 “윤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어려운 행동을 취한 셈”이라며 “삼각 협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일본이 관계 개선 조치를 취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 명단에 복귀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일본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환영할만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시아태평양 안보석좌 역시 “윤 대통령이 과감한 지도력을 발휘했다”며 “일본이 화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국 정부에 주목한 전문가의 반응도 나왔다. 앤드류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는 미국 정부가 한일 양국의 발표 직후 환영한다는 내용의 입장을 낸 것을 두고 “미국이 한일 관계 개선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는 증거”라며 “미국이 이 문제를 면밀히 주시해왔고 사전에 통보받았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한일 합의가 또 다른 실패로 끝나서는 안된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최근 윤 대통령이 3·1절 기념사를 통해 일본을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로 언급한 것은 의미가 있다”라며 “양국이 서로 다툴 것보다 공유하는 것이 더 많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올바른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