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117년 만에 최고 수준 ‘11월 눈폭탄’… 일최심적설 16.5㎝

종전 기록 4㎝ 이상 차이로 제쳐

성북·강북구 각각 20㎝ 이상 눈

절리저기압 영향에 눈구름 형성

28일 오전까지 전국서 눈 올 듯

서울 지역에 폭설이 내린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시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지역에 폭설이 내린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시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에서 올해 첫눈부터 역대 최고 수준의 눈폭탄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등에 따르면 27일 오전 8시까지 서울 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일최심적설(하루 24시간 중 실제 지표면에 쌓인 눈의 최대 깊이)은 오전 7시에 기록된 16.5㎝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1907년 서울에서 기상관측을 시작한 지 117년 만에 기록한 11월 적설 최고치에 해당한다.

기존 서울 11월 일최심 적설 기록은 1972년 11월 28일 기록한 12.4㎝다. 이날 폭설은 올해 서울에 내린 첫눈임에도 불구하고 종전 기록을 4㎝ 이상 차이로 52년 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모든 월을 포함한 일최심적설 최고 기록은 1922년 3월 24일 기록한 31.0㎝다.

관련기사



이날 구별 일최심적설은 성북구와 강북구가 오전 7시 기준 20.6㎝와 20.4㎝였으며, 서대문구(17.2㎝)와 도봉구(16.4㎝), 은평구(16.0㎝), 마포구(14.1㎝), 관악구(12.2㎝), 동대문구(12.0㎝), 노원구(11.4㎝) 등에도 10㎝가 넘는 눈이 왔다.

신적설(전날 내린 눈을 제외하고 오전 12시부터 내린 눈의 최심적설) 또한 15.8㎝로 종전 최고치인 1966년 11월 20일 9.5㎝보다 6㎝ 이상 많았다.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한반도 북쪽에 절리저기압(상층 편서풍대가 구불구불한 한랭한 저기압)이 자리잡고 있다. 북서쪽에서 내려온 한랭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면서 눈구름대를 만들어 이례적인 폭설이 쏟아진 것이다.

통상 대기와 바닷물 간 온도 차(해기차)가 크면 충남과 호남에 눈이 쏟아지지만, 올해는 절리저기압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가라앉으며 백령도 인근에 기압골을 형성시켰고 이 기압골이 수도권을 지났다.

기상청은 오는 28일 오전까지 전국적으로 눈과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채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