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전세사기·공급난에…서울 빌라 월세 치솟는다

[해외자본 타깃 된 민간임대]

◆ 월세지수 104.87 역대 최고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뉴스1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뉴스1






비(非)아파트 공급 감소와 전세사기 등의 여파로 서울 빌라와 오피스텔의 월세 가격이 치솟고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세가격지수(2021년 6월=100)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1월 이래 역대 최고다. 같은 달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도 101.58로 1월(100.9)부터 11개월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전세사기로 전세 기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월세로 수요가 쏠린 데 따른 결과로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계약된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량은 13만 4683건이다. 이 가운데 월세 거래는 7만 2728건으로 약 53.9%를 차지했다. 2020년과 비교하면 비중이 24%포인트나 커졌다.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의 여파로 빌라와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공급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입주 물량(준공)은 3만 813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7.7% 감소했다.

여기에 금융 당국이 올해 한국주택금융공사(HF),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서울보증보험(SGI) 등 3대 보증 기관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현행 100%에서 90%까지 낮추기로 한 만큼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되면서 월세 가격이 더욱 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보증 비율 하향 조정은 결국 전세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대출금 부담에 월세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전세사기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아파트보다 빌라 등 비아파트부터 전세의 월세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