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상장 유지비용 12.8% 증가" 상법 개정땐 기업 허리 휜다

■ 한경협 '600대 상장사' 설문

코스피기업 부담은 15.8% 늘어

29% "공시의무 완화 필요하다"

한국경제인협회. 연합뉴스한국경제인협회. 연합뉴스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기업의 상장 유지 비용이 12.8% 증가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상법 개정안은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 등을 담고 있으며 현재 야권을 중심으로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매출 상위 600대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를 보면 코스피 기업의 상장 비용 부담이 15.8%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코스닥(9.8% 증가) 기업보다 더 컸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상법 개정에 따라 상장 유지 부담이 더 커지는 셈이다. 상장 유지 비용은 자본시장법을 비롯해 각종 법률에 산재한 규제나 공시 의무를 준수하고 경영권을 방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다. 주주 명부 관리, 공시 관련 각종 비용, 기업설명(IR) 비용 등이 전부 여기에 해당한다.



기업들은 상법 개정으로 상장 유지 비용이 증가할 경우 대응 방안으로 내부 프로세스 개선(49.0%)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내부적으로 공시 절차 등을 단순화해 비용을 줄인다는 뜻이다. 뚜렷한 대응 방안이 없거나(5.0%) 이사 수를 줄이겠다(2.0%)고 응답한 기업도 있었다.

관련기사





또한 기업들은 상장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치로 공시 의무 완화(29%)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상장 유지 수수료 지원(27.0%), 지배구조 규제를 강화하는 상법 개정 중지(24.0%), 회계 제도 개선(14.0%), 증권 집단소송 부담 저감(4.0%) 등의 순이었다.

상법 개정과 무관하게 상장 당시와 비교해 유지 비용이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묻는 말에 응답 기업들은 평균 11.7% 늘었다고 답했다. 코스피 기업은 17.8%, 코스닥 기업은 6.0%씩 각각 늘었다.

한경협 관계자는 “상법과 자본시장법에 자산 규모 2조 원 이상의 상장회사에 대한 규제가 많아 이들 기업의 비용 부담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상장 유지 비용이 증가한 원인으로는 가장 많은 37.1%가 “회계 등 감사 비용이 늘어서”라고 답했다. 이어 공시 의무 확대(23.8%), 지배구조 규제 강화(17.2%), 주주 대응 비용(15.2%) 등의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섣부른 지배구조 규제 강화는 기업의 경영 부담만 가중시킨다”며 “상법 개정 논의를 중단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와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제도적 지원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