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대출 안나와서 전세 못들어가요”…서울 아파트 임대차 10건 중 4건은 월세

전셋값 오르는 상황 속에서

대출 규제로 자금 부담 커져

매매 수요 임대차 시장 머물러

'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전망

2023~2024년 분기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비중. 사진 제공=부동산R1142023~2024년 분기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비중. 사진 제공=부동산R114





지난해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44.0%가 월세 계약 비중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전방위 대출 규제로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억눌린 매매 수요가 임대차 시장에 머물면서 이 같은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10일 부동산R114가 2023~2024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임대차 계약에서 전세 비중은 56.0%(3만 112건), 월세 비중은 44.0%(2만 3657건)를 기록해 직전 분기 대비 월세 비중이 3.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계약 유형별 비중을 보면 갱신계약 비중이 2023년 3분기 이후 증가세인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갱신계약 비중이 31.6%를 기록하면서 최근 2년래 최대를 기록했다. 높아진 전셋값의 문턱을 넘지 못한 수요자들이 신규 전세 및 월세 계약을 체결하기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 연구원은 “전세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수요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될 수밖에 없어 ‘전세의 월세화’는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