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재명 "연금개혁, 여야 합의 안 되면 민주 '단독'으로라도 처리"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정부 국정협의회 첫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최상목 권한대행. 뉴스1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정부 국정협의회 첫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최상목 권한대행. 뉴스1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0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여야 간 연금개혁안에 합의가 안 되면 민주당 '단독'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진 의장은 2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4자 회담에서 연금개혁안 합의가 안 되면 강행 통과시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맞냐'는 질문에 "그런 말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고 답했다.

이어 "정부·여당이 도무지 완강한 그런 상황이어서 조금도 진전이 안 되고 있다"며 "모수개혁이 소득대체율 1% 차이로 도무지 진전이 안 되고 있는데 1% 정도 차이라면 단독 처리할 수도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진 의장은 "적어도 소득대체율은 44~45% 수준이 결정돼야 한다"며 "2월 국회 중에 (연금개혁안을) 처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날 민주당 관계자들도 이 대표가 국정협의회 비공개 회담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연금개혁의 시급성 및 중요성을 설명하며 '단독 처리'를 꺼낸 것이라고 전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이 강행처리한다기보다 '단독으로라도' 처리하겠다는 말"이었다며 "소득대체율(받는 돈) 44%를 국민의힘에서 제안했으니까, 민주당이 단독으로라도 처리하면 되는 거 아니냐는 거였다"고 설명했다.

12·3 비상계엄 이후 최 대행과 권 비대위원장, 이 대표가 민생 문제를 두고 얼굴을 마주한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당시 추경과 연금개혁, 반도체특별법 등을 두고 여러 논의가 이뤄졌지만 뚜렷한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양 당은 지난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두고 '보험료율(내는 돈)을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44%'로 하는 데 합의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22대 국회에서 처리하자고 하면서 불발됐다. 민주당은 소득대체율을 최초 50%로 주장하다가 45%로 낮췄고, 합의를 위해 국민의힘이 제안한 44%까지 양보했다는 입장이다.

한편 진 의장은 정책협의회에서 여야 간 입장 차이가 크다며 "실무 협의를 좀 더 진행해 봐야 본 회담을 할 수 있을지 판단할 수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또 여야가 줄곧 평행선을 달리는 반도체특별법의 핵심인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 문제도 "도무지 진전이 없다"며 "그 쟁점은 일단 뒤로 미루고 나머지 합의된 것이 민주당 입장인데 정부·여당이 완강하게 반대하고 있다"고 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