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자고나면 바뀌는 트럼프 관세…"사이코 협상" 혼돈

加·멕시코 엄포

이틀만에 또 유예

한달새 3번 뒤집어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 서명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들어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들어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지 이틀 만에 전격 유예를 발표했다. “협상의 여지는 없다”며 엄포를 놓다가 갑자기 관세를 유예하는 오락가락 행보에 당사국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장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 중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을 대상으로 다음 달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4일 0시를 기해 관세가 발효된 지 불과 이틀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는 한 달 새 벌써 세 번째다. 대신 멕시코와 캐나다도 4월 이후 상호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4월 2일에 전 세계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상호 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캐나다 외무장관은 최근 토론토에서 열린 경제인들과의 회담에서 “30일마다 벌어지는 사이코드라마를 견딜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예측을 벗어나는 트럼프식 협상술이지만 오락가락 정책 탓에 시장은 극도의 혼란을 겪고 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나스닥지수는 2.61% 떨어지며 지난해 12월 최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는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전략 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이날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인공지능(AI)·가상자산 차르가 밝혔다. 다만 예산을 투입해 가상자산을 구매하지는 않겠다고 전하자 시장에는 실망감이 번지며 비트코인 가격이 7% 이상 떨어졌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도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워싱턴=이태규 특파원·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